비문증이란?
비문증은 눈앞에 먼지나 벌레 같은 뭔가가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는 증상입니다.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점을 손으로 잡으려 해도 잡히지 않고,
이물질이 위를 보면 위에 있고 우측을 보면 우측에 있는 등
시선의 방향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엄밀히 말해 비문증은 눈이 느끼는 증상의 일종일 뿐이며,
이 자체가 질병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비문증은 날파리증이라고도 합니다.
비문증은 10명 중 7명 정도가 경험할 정도로 상당히 흔한 질환으로, 대부분 문제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비문증은 40대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50~60대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노화 현상과 관련이 깊습니다. 근시가 심한 사람은 청년기 이후부터 비문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비문증은 대부분 나이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입니다.
다만 비문증이 병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안과 진료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원인
눈 안에는 눈을 둥글게 유지시켜주는 유리체라는 겔과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원래 유리체는 계란 흰자처럼 투명해서 느껴지지 않지만 노화 현상 때문에 혼탁이
생기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에 의해 혼탁한 부분 뒤로
그림자가 비쳐 모기나 실 같은 것들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생리적인 혼탁은 유리체의 섬유화나 후부 유리체 박리를 그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후부 유리체 박리는 노화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망막에 바짝 붙어있던 유리체가 망막과 시신경에서 떨어져 나오면서
둥근 고리 같은 혼탁이 생기는 것입니다.
병적인 혼탁은 당뇨 합병증이나 혈관 폐쇄 등으로 유리체 내에 출혈이 생기거나,
망막박리, 망막변성, 포도막염 등의 질환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병적인 혼탁을 생리적인 혼탁과 구분하기 위해서는
동공을 크게 하는 안약을 점안한 후 눈 속을 직접 세밀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증상
- 점 혹은 날파리와 같은 물체가 눈앞에 보인다.
- 눈앞에 거미줄이 보인다.
- 시야 옆에 떠다니는 줄 모양의 음영이 나타난다.
- 눈을 감거나 떴을 때 번쩍거리는 증세가 나타난다.
이것의 일반적인 증상은 눈 속에 부유물질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 부유물질은 여러 개일 수 있고, 여러 형태로 변할 수 있습니다.
날파리증이라는 이름 그대로 작은 벌레 모양 또는 실오라기나 아지랑이, 점 모양으로 시야에 보입니다.
때로는 눈을 감아도 보입니다. 비문증은 눈 속에 있는 혼탁 물질의 그림자가 보이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이 물질은 보고자 하는 방향을 따라다닙니다.
맑은 하늘이나 하얀 벽, 하얀 종이를 배경으로 할 때 더욱 뚜렷하게 보입니다.
시선의 중심에 있는 경우도 있고, 조금 옆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혼탁 물질이 망막 가까이에 위치하면, 그림자가 짙으므로, 증상이 더욱 심합니다.
이것은 한 번 생기면 계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혼탁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증상이 호전될 수도 있습니다.
망막이 박리되는 경우, 갑자기 새로운 비문 증상이 생기거나
눈 속에서 번갯불처럼 번쩍이는 현상을 느끼게 됩니다.
망막 박리는 시신경층이 안구에서 떨어져 나와
시력이 상실되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비문 증상과 비슷한 것으로 번갯불 현상(광시증, 光視症)이 있습니다.
눈을 세게 부딪혔을 때 눈앞에 불이 ‘번쩍’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유리체가 수축하면서 망막을 당기면 눈 속에서 불이 번쩍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수주~수개월 정도 없어졌다가 다시 생기기도 합니다.
눈 속에서 번갯불이 번쩍이는 증상은 편두통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는 나이가 많아지면서 자연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증상만으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눈물흘림증, 찬바람만 불면 눈물이 흐른다면 의심해봐야한다!1 바로가기
치료
생리적인 비문증은 치료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병적인 비문증은 그 원인을 찾아 치료를 해야 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비문증의 경우에 수술로 제거하면 되지 않느냐는
질문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이런 경우 수술은 ‘빈대 한 마리 잡으려고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고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기타 안약, 주사, 내복약 등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습니다.
비문증은 일반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눈앞에 검은 실이 떠다닌다고 해서 그것에 너무 신경을 쓰지 말고 자연스럽게 무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적응하여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문증이 있는 사람은 그 물체에 대해 자꾸 신경을 집중시키는 습관이 생깁니다.
하지만 신경을 집중시키고 걱정을 하는 행위는 증상을 해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시간적, 정신적으로 손해입니다.
가장 좋은 해결 방법은 안과 의사의 검진을 통해
그 현상이 단순한 이것이라는 것을 확인한 후 그 물체를 무시하고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떠다니는 물체의 숫자나 크기에 여러 달 동안 변화가 없다면 수술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갑자기 검은 실 같은 것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눈앞에 무언가가 가려지는 듯한 증상이 느껴지면,
병적인 비문증(망막 박리에 의한)으로 진행하는 초기 단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안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생리적인 변화에 의한 비문증일지라도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크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레이저 치료나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는 레이저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 충격파를 이용해
커다란 부유물을 작게 부수거나 흐트러뜨림으로써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입니다.
하지만 눈 속에는 충격파로 없앨 부유물뿐만 아니라 연약하고도
매우 중요한 망막과 유리체 등이 있습니다.
이 충격파가 전달되어 망막에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부유물이 깨지면서 그 숫자가 더 늘어나 결과적으로 불편감이 더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유물의 크기와 밀도가 크며 시축을 가로막으면, 수술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또한 여러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변화에 의한 이것은 질환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합병증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치료를 권하지 않습니다.
관리방법
병적인 비문증의 경우는 반드시 원인 질환을 찾아 치료해야 합니다.
생리적인 비문증으로 진단받은 후에는 정기적으로
안과를 찾아 망막박리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것이 생긴 경우 6개월 ~ 1년이 지나면 망막박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며
망막박리가 발생하면 시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생리적인 비문증을 진단받은 경우라도 일상생활 중에
만약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면 반드시 지체없이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눈앞의 비문 (날파리, 모기, 검은 점) 등이 갑자기 증가했다.
시력이 떨어지거나 시야에 커튼이 드리워지는 듯한 증상이 나타났다.
인공눈물을 넣거나 눈을 깜빡여도 침침함이 해결되지 않는다.
자주하는질문(FQAs)
눈을 움직일 때 날파리 같은 물체가 보이는데 비문증인가요?
비문증은 ‘날파리증’이라고도 하며, 눈앞에 먼지나 머리카락, 벌레 같은 물체가 떠다니는 것처럼 느끼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점이나 물체로 보일 수 있고,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눈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비문증은 자연 치유가 가능한가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대부분의 이것은 노화와 관련된 증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적응해서 증상이 덜 느껴지는 경우가 흔하므로, 단순 이것이라면 치료 없이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단순 노화 관련 증상이 아니라 망막의 일부가 찢어지면서 열공이나 출혈이 발생해 생긴
이것 증상이라면 망막박리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레이저 치료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갑자기 눈앞에 보이는 물체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일부가 가려지는 듯한 증상이 나타나면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출처1 :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