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골 골절 이란?
슬개골은 손으로 무릎을 앞부분을 만졌을 때 만져지는 무릎 뚜껑뼈로써
이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것을 슬개골골절이라 한다.
슬개골골절 발생 시 올바른 응급처치를 해야 2차 손상을 막을 수 있다.
합병증으로는 슬관절강직 및 외상성 관절염 등이 있다.
주요원인
슬관절 골절의 발생률은 교통수단의 발달과 증가로 인해 높아지고 있습니다.
슬관절 골절의 주요 원인은 교통사고, 추락, 점프, 달리기 등입니다.
- 무릎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 무릎 전면을 직접 부딪힐 경우
- 스포츠 등으로 무릎을 다칠 경우
증상
슬개골 골절은 심한 통증과 압통을 동반합니다.
슬개골이 골절된 사람은 일어서기 힘듭니다.
골절 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그 부위가 함몰됩니다.
골절된 직후부터 부종이 나타납니다.
진단
슬개골 골절은 진찰과 소견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촬영도 시행합니다. 진단이 불확실하거나 슬관절에 통증이 있다면 관절경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위가 없거나 분쇄 골절이 아닌 슬개골 골절에는 석고 고정 등과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슬개골의 골절이 심하다면 수술적 방법을 시행합니다.
골다공증, 증상.치료 : 나이가 먹을수록 뼈가 약해지는 이유!1 바로가기
치료
1. 슬개골골절 응급처치
슬개골골절 시에는 넓고 튼튼한 부목을 다리 뒤에 두고 발꿈치, 무릎을 고정한다.
(고정 시 혈액순환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여유 있게 묶는다.)
골절 후에는 다친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다리를 구부렸다 펴는 행동이나 체중 부하가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통증 및 부종이 있을 때는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
2. 슬개골골절 비수술 치료
무릎을 완전히 펼 수 있으며 전위, 분쇄골절 등과 같은 증상이 없다면
석고 고정 및 약물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3. 슬개골골절 수술 치료
엑스레이 검사 결과 전위, 분쇄골절 등이 발견된다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슬개골골절 회복이 어렵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은 골절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강선,
나사못 등을 이용해 골절 부위를 고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예방방법
가장 좋은 것은 가능한 골절을 입지 않는 것입니다.
부지불식간에 발생하는 사고를 피하기는 어렵겠지만,
운동을 즐기는 분들이라면 보호구를 바르게 착용하고 준비운동을 철저히 하는 것,
무리한 동작은 삼가는 것 등으로 슬개골 부상을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응급처지 방법
① 너비가 10cm 이상인 부목을 허벅지에서 발뒤꿈치까지 닿게 하여 헝겊으로 잘 쌉니다.
② 부목을 곧게 편 다리의 밑에 둡니다.
③ 무릎과 발꿈치에는 고임을 댑니다.
④ 붕대 하나는 슬개골 바로 위에, 또 하나는 바로 아래에 부목과 함께 돌려 묶습니다.
⑤ 무릎이 부어오르기 쉬우므로, 붕대를 둘러 싸매지 말고 여유 있게 묶습니다.
⑥ 부목이 없다면 베개, 담요를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1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527
출처 2 :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539